티스토리 뷰
플랫폼(Platform)이란?
플랫폼은 구획된 땅이라는 plat과 형태라는 의미의 form이 합성된 말로써 경계가 없던 땅이 구획되면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을 상징하는 단어가 되었다. 이러한 사전적 의미의 플랫폼이 광의적으로 사용이 되면서 다양한 곳에 응용이 되어 왔다. 승강장을 예로들면 승강장은 기차나 지하철, 버스 등을 타려는 승객들이 모이는 공간인데 교통편을 기다리는 승객들을 위해 승강장에는 잡지나 먹거리 등을 판매하는 편의시설들이 들어서 있다. 교통수단과 승객을 만나게 했던 승강장이 별도의 마케팅 없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그래서 플랫폼은 공급자와 수요자가 직접 참여해서 각자가 얻고자 하는 가치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환경이라는 것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플랫폼의 진화과정
플랫폼은 단순하게 하나의 공간 또는 하나의 장소를 뜻하는 용어로 사용이 되어왔습니다만 이러한 관점을 하드웨어 적인 시간으로 바라본다면 점차적으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등의 관점으로 그 개념이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 하드웨어 플랫폼
- 실제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부분의 물리적 구조물들
(기차역, 다이빙대, 원유시추 구조물, 우주발사대 등) - 소프트웨어 플랫폼
- 다양한 Application이 작동하는 기반이 되는 운영체제 OS
(Windows10, iOS, Android 등) - 응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 자체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고 플랫폼화 된 서비스
(facebook, twitter, instagram, App Store 등)
플랫폼의 개념이 하드웨어적인 부분에서 점차적으로 범용화를 이루면서 기본 소프트웨어로 이동이 되고, 응용소프트웨어로 계속해서 확장을 해나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이 범용화를 이루는데 가장 큰 역할을 했던 것은 스마트폰의 등장이며, 스마트폰으로 인해서 다양한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sns의 대중화를 이루면서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 비즈니스가 생겨나게 되었다.
플랫폼 비즈니스(Platform Business)란?
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고 학자들마다 견해가 다르기 때문에 정해진 것이 없다. 그래서 플랫폼 비즈니스를 보다 정확한 개념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플랫폼 비즈니스가 아닌 것을 비교해볼 필요성이 있다. 일단 가치사슬 구조의 전통적인 비즈니스와 비교를 통해 플랫폼 비즈니스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 수가 있다.
흔히 파이프라인이라 불리우는 전통적인 비즈니스는 원자재를 가공해서 완제품을 생산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모델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플랫폼 비즈니스는 둘 이상의 상호종속적인 그룹간의 교환을 촉진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비즈니스를 뜻한다.
플랫폼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를 하지만 플랫폼 생태계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보면 소유자, 공급자, 생산자와 소비자로 구성된 하나의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는 공통점을 가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특히 IT기술과 데이터 기술의 발달 그리고 모바일 환경의 확장으로 인해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생산자와 소비자들의 연결이 수월해지면서 비즈니스 환경도 크게 개선이 되었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Platform Business Model)
플랫폼의 사전적 의미는 기차역의 승강장을 뜻하지만 포괄적으로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원하는 가치를 거래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러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플랫폼 사업이란 플랫폼 사업자가 플랫폼을 형성하고 운영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을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이라 부른다.
일반적인 플랫폼은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로서 양면시장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데 수요자측면인 demand side는 플랫폼의 접속자인 사용자와 플랫폼에 수익을 가져다주는 고객을 뜻하고, 공급자측면인 supply side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제품이나 컨텐츠, 광고 등을 공급하는 파트너를 뜻한다.
플랫폼 사업자는 자신들의 플랫폼을 이용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계속해서 만들어 가게 되는데 이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플랫폼은 component(구성요소)와 rule(규칙)로 구분을 할 수가 있고, 플랫폼의 구성요소들은 S/W, H/W, service의 요소들이 있고, platform provider는 이러한 요소들을 가지고 최초 플랫폼을 만들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플랫폼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rule을 적용하게 되고, 이러한 제안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참여자가 된다. 이런 측면에서 플랫폼은 하나의 Eco system을 구축하는 것이고 이것을 이용해서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플랫폼의 유형
플랫폼의 유형은 플랫폼 경제의 확산과 4차산업 혁명으로 인해 매우 다양한 형태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플랫폼이 새로운 가치창출과 함께 기존시장의 변화를 주도하면서 경제활동의 주축이 되고 있다. IoT, AI, 빅데이터 등과 결합해서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플랫폼 비즈니스 기업들은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해서 운영체제인 OS와 마켓, SNS와 모바일을 기준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애플, 구글, 아마존과 같은 거대기업들은 기술과 유통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페이스북과 에어비앤비, 카카오 같은 창조기업들은 서비스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속에서 플랫폼 유형을 따져보면 크게 참여자그룹 연결 형태와 사업 형태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가 있다. 싱글사이드 플랫폼은 고객그룹만을 상대하므로 전통시장 구조하에 있는 플랫폼을 뜻한다. 투 사이드 플랫폼은 거대 플랫폼을 의미하는데 사업형태로 보면 매개형에 해당한다.
생태계플랫폼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해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사업형태로는 기반형에 해당한다. 멀티사이드플랫폼에 해당하는 다면플랫폼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서로 다른 가치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플랫폼의 유형이나 형태는 딱히 정해져 있지 않고,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유형에 따라 수익모델은 크게 광고나 수수료 그리고 구독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플랫폼의 5대 기능
플랫폼의 기능은 크게 5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 연결기능 - 연결을 가능케 하는 장소를 제공하여 교류를 촉진
ex. 증권거래소(매도자와 매수자), 옥션(판매자와 구매자), 백화점(점포와 고객) 등을 제공 - 비용감소기능 - 각 그룹이 개별적으로 처리할 경우 시간과 비용이 드는 기능을 플랫폼이 대신 제공
ex. 백화점: 화장실 설치, 주차장 운영, 고객관리, 마케팅 등의 기능 - 브랜드 신뢰 기능 - 플랫폼 브랜드가 사용자에게 안심감과 신뢰감을 부여함으로써 일정수준의 질을 보장
ex. 검색은 구글, 경매는 옥션, 음악은 iTunes 등 - 커뮤니티 형성 → 네트워크 효과 - 그룹간 상호 작용을 통한 커뮤니티 형성, 입소문을 통한 네트워크 효과는 애착심을 고취
ex.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등의 sns - 이질적 그룹의 교류를 위해 제3의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을 통한 광고주와 소비자의 접점을 창출
ex. 방송: 광고주와 시청자를 연결 → 제3의 미디어 제작(드라마나 예능프로그램 등)
이러한 플랫폼의 기능을 한마디로 요약을 하면 플랫폼은 관련성 있는 여러 그룹을 하나의 장소인 플랫폼에 모아놓고 이들의 관계형성이나 고객모집 등의 다양한 기능을 플랫폼이 제공을 하고 검색이나 광고 등의 비용을 줄여 입소문과 같은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하게 만들어서 새로운 사업인 에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플랫폼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공부를 합시당 > 소프트웨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VER AI NOW 영상 정리 (0) | 2021.05.25 |
---|---|
IoT기기의 보안 / 정적분석과 동적분석 (0) | 2021.05.14 |
난독화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5.14 |
시큐어코딩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5.14 |
정보보호의 목표 (0) | 2021.05.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plot
- 프로그래머스
- 프로그래밍
- 보안
- 경제
- 개발
- 금리
- 모듈
- 클래스
- 스마트워치
- 함수
- python
- 머신러닝
- sql
- 경제신문
- 그래프
- 파이썬
- R
- 영어회화
- 자바
- SW
- Programming
- 데이터
- 코드
- mysql
- 영어
- 코딩테스트
- 코딩
- 데이터분석
- 코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