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귀 함수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로 파이썬은 자기 자신을 함수 내에서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재귀 함수로 활용할 수 있음 파이썬은 끝없이 자기 자신을 호출해 무한루프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기간 반복하여 자기 자신을 호출할 경우 오류 발생 -> 종료 조건이 필요함 팩토리얼 코드 작성해보기↓ def factorial(n): if n == 0: return 1 #종료 조건 작성 return n * factorial(n-1) print(factorial(15)) #15!의 값이 출력됨 lambda함수로 변환하여 팩토리얼 코드 작성해보기↓ fact = lambda x: x == 0 and 1 or x * fact(x-1) #첫번째 and에서 둘 중 하나만 False일 경우 False, 두번째 or에..
람다 함수 리스트 내포, 조건부 표현식 등과 같이 여러 줄의 코드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새로운 함수 정의 방법 lambda로 정의할 수 있고, def와 같은 역할 함수의 이름을 정의하지 않고, 일회성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때 유용 def로 정의할 만큼 복잡하지 않을 때 활용 lambda 매개변수1, 매개변수2, ... : 매개변수를 이용한 표현식 def 함수와 같이 기본 매개변수, 키워드 매개변수, 가변 매개변수 설정 가능 조건문과 함께 사용 가능 map 내장 함수와 함께 활용: 시퀀스 자료형이 지닌 각 요소 값들에 대해 함수에 적용한 요소를 지닌 map 객체를 반환 def func(x): return x * x a = [1, 2, 3, 4, 5] b = map(func, a) print(..
함수의 정의 함수의 이름 또한 식별자 규칙을 지켜야 함(특수문자, 공백, 대 소문자 구분 등) 제어문과 마찬가지로 콜론과 들여쓰기를 꼭 해야 함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 함수는 pass키워드를 적어줘야 함 함수의 설명(Docstrint)을 적어둘 수 있음 내장 함수 help()를 사용해 해당 함수의 설명을 확인할 수 있음 함수의 호출 매개변수가 있다면, 해당 인자를 호출할 때 적어줘야 함 함수의 반환 함수 실행 종료 후, 지정한 값을 함수가 호출된 지점으로 반환할 수 있음 두 개 이상의 값을 반환하면, 결과 값은 튜플로 변환 매개변수의 자료형은 동적으로 결정되며, 호출되는 순간 해다 인자에 전달되는 객체에 따라 자료형이 결정됨 지역변수 함수 내에서 만들어진 변수 함수가 실행될 때 생성되며, 함수가 종료될 ..
- Total
- Today
- Yesterday
- 그래프
- plot
- 데이터분석
- 함수
- python
- 모듈
- 클래스
- 데이터
- 금리
- 자바
- mysql
- 파이썬
- 경제신문
- 코딩
- 프로그래머스
- 개발
- 프로그래밍
- 머신러닝
- 코테
- Programming
- 영어회화
- 코드
- SW
- 경제
- 보안
- 영어
- sql
- 코딩테스트
- 스마트워치
- 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