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스마트워치로 인한 보안 침해 우려
- 웨어러블 액티비티 트래킹 기기 위치 파악
현재 스포츠 활동을 추적하는 웨어러블 기기들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기기가 수집한 데이터는 다른 기기와 동기화를 통해 볼 수 있다. 편의상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을 이용해 무선으로 다른 기기로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데, 이때 기기 추적이 가능한 정보를 전달한다. 시만텍은 휴대용 블루투스 스캔 기기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조사 대상이 된 모든 웨어러블 액티비티 트래킹 기기 들이 기기가 전송한 고유 하드웨어 주소를 사용해 쉽게 위치 추적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기기는 설정환경에 따라 원격조회가 가능한 기기도 있어, 물리적 접촉이 없어도 기기의 시리얼 번호나 특징 등과 같은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누군가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다면 손쉽게 이러한 위치 추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 유출 가능
하나의 셀프 트래킹 앱에 연결되는 고유 도메인이 평균 5개, 많게는 최대 14로 조사됐다. 앱이 수집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광고 등 특정 API에 접속하기 위해 도메인에 접속할 수 있으나 상당히 많은 앱이 10개 이상의 고유 도메인에 접속하고 있다.
하지만 앱이 써드파티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자 활동 정보가 예상치 않게 노출될 위험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이 외에 사람의 실수나 사회공학적 방식으로 또는 부주의한 데이터 취급으로 개인 정보가 의도치 않게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스마트워치에 포함된 센서의 종류들
주변 광 센서 | 주변 조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절약에 활용된다. |
근접 센서 | 배터리 절약을 위해 꺼 놓은 디스플레이를 깨울 때 이용된다. |
제스처 센서 | 손이 특정 방식으로 움직일 때 정해진 활동이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만들기 위한 센서다. |
3축 가속도계 | 거의 모든 스마트워치에 탐재되는 기본 센서로 이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중력을 감지해 방향, 위치 및 속도 변화 등을 측정한다. |
자이로스코프 | 각 속도를 측정하면서 이동 중 상태를 정확하게 추적하기 위한 센서로 손목의 흔들림으로 인한 움직임을 가려내 조깅과 달리는 상황을 구분한다. |
고도계 | 계단이나 경사를 오르고 내려갈 때 높이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측정한다. |
나침반 센서 |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로 스마트워치에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띄웠을 때 정확한 이동 방향을 표시한다. |
GPS | 스마트폰 없이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확인 시스템으로 스마트워치에 위치를 기록한다. |
자력계 | GPS 및 나침반과 함께 작동하며, 정확한 좌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
UV 센서 | 유해한 햇빛에 대한 노출을 측정한다. |
태양광 센서 | 빛을 이용해 스마트워치에 전력을 보충할 수 있는 센서다. |
심박 센서 | 분당 심장 박동을 측정하는 데 활용하는 센서로 빛을 이용해 혈류 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기록한다. |
SpO2 센서 | 혈액 내 산소 수준을 측정하는 센서, 손목을 통해 혈액에서 나오는 적색 및 적외선의 상대적 반사를 측정하고 심장 박동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지 확인해 SpO2 값을 추정한다. |
호흡 및 수면 측정 센서 | 수면, 심박수, 호흡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로 미세한 전기를 피부에 흘려보내 그 변화를 기록한다. |
ECG 센서 | 심장 박동이 규칙적으로 뛰고 있는지 확인하는 센서로 스마트워치의 전극을 통해 심장의 미세한 전기 신호를 감지하도록 설계됐다. |
전피 활동 센서 | 전피 활동 또는 EDA 센서로 불리는 이 센서는 피부나 땀 수준의 작은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스트레스를 확인한다. |
피부 온도 센서 | 피부 온도 센서는 체온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여 열과 같은 병에 걸리거나 월경 등을 예측한다. |
스마트 워치의 건강관리 기능
- 수면의 질을 살핌
단순 몇 시간 동안 잠을 잤는지 확인하는 수준이 아니라 얕은 잠에서 깊은 잠 등 여러 수면 단계와 수면 시간 중 잠시 깨는 것까지 측정해 수면의 질을 파악할 수 있도록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 스트레스 지수 정보 제공
- 혈중 산소 포화도 정보 제공
- 최대 소비 가능 산소량 측정 후 정보 제공
- 심전도 측정
일정시간 동안 심박 박동수를 확인하는 기능과 아울러 심장의 전기적 신호가 나오는 간격 및 파형을 측정하고 심방세동을 구별하는 기능을 탑재하였다. 심방세동의 신호가 관찰되는 경우 전문 의료 기관을 통해 더 면밀한 검사를 받도록 정보를 제공해 더 큰 위험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기능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 심박수 측정
삼장이 뛰는 횟수를 측정하면서 그 변동성을 파악하여 여러 신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운동처럼 심장 활동을 활발하게 만드는 요인 없이 갑작스럽게 심장 박동이 빠를 경우 이에 대해 경고하고 병원에서 진단받을 것을 권고하기도 한다.
'공부를 합시당 > 소프트웨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보안 문제 (0) | 2021.05.14 |
---|---|
5세대 블루투스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5.13 |
스마트 워치와 타이젠 (0) | 2021.05.12 |
타이젠에대해 알아보자! (0) | 2021.05.12 |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5.11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데이터
- 코테
- 그래프
- R
- 파이썬
- 코드
- 함수
- SW
- 자바
- 스마트워치
- 영어
- 머신러닝
- 개발
- 프로그래밍
- mysql
- 코딩테스트
- 보안
- plot
- 데이터분석
- python
- 프로그래머스
- 코딩
- 영어회화
- 클래스
- 금리
- Programming
- 모듈
- sql
- 경제
- 경제신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